□ 방송일시 : 2025년 5월 16일 (금) 저녁 10시 20분
□ 담당 PD : 이시우
□ 담당 작가 : 김배정, 김현정
□ 출연자 : 김한주 (강서K병원 골절외상센터 병원장)
□ 방송 채널
IPTV - GENIE TV 159번 / BTV 243번 / LG유플러스 145번
스카이라이프 90번
케이블 - 딜라이브 138번 / 현대HCN 341번 / LG헬로비전 137번 / BTV케이블 152번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를 바랍니다.
◆ 김한주 : 안녕하세요. 정형외과 전문의 김한주입니다. 오늘 제가 준비한 이야기는 뼈가 골절된 뒤 치료를 했는데도 잘 붙지 않는 증상, 불유합이 발생하는 원인과 치료법입니다.
◇ 박상훈 성우 : 골절 후 뼈가 붙지 않는 증상 불유합. 많은 사람들은 골절이 되면 깁스를 하거나 수술을 통해 자연적으로 뼈가 붙는다고 알고 있지만 일부 환자에게서는 골절 합병증인 불유합 증상이 발생한다. 불유합이 발생하는 이유는 부러진 뼈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이 손상되거나 뼈를 고정해 놓은 금속판과 금속정이 헐거워지기 때문인데, 불유합의 치료 포인트는 뼈가 잘 붙을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는 것이라고 한다. 일반 골절보다 증상도 심하고 수술 난이도도 높은 불유합의 치료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자.
[불유합의 이해]
◆ 김한주 : 골절은 뼈의 연속성이 끊어진 상태. 쉽게 말해 뼈가 부러진 것을 의미합니다.그리고 유합은 골절 후에 뼈가 붙은 상태를 의미합니다. 골절이 되면 많은 사람들이 깁스를 하고 혹은 수술을 하고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면 자연적으로 뼈가 예쁘게 붙는다고 알고 있지만 뼈가 느리게 붙는 지연 유합, 붙지 않는 불유합, 어긋나서 붙게 되는 부정 유합 등 여러 골절 합병증들이 발생 가능합니다. 골절 후 발생하는 불유합은 다양한 원인과 상당한 유병률이 보이고 있으며 환자에게 육체적, 정신적으로 많은 고통을 주고 부가적인 비용 문제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불유합 발생 부위]
◆ 김한주 : FDA 미국 식품의약국에서는 뼈가 부러진 후 9개월 이상 뼈가 붙지 않은 골절에서 방사선 검사상 연속된 3개월 이상 뼈가 붙어가는 징조가 보이지 않는 경우를 불유합으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문헌에 따르면 모든 골절의 3~5% 정도가 불유합으로 발전하며, 골절 부위에 따라 손등에 위치해 손목과 손을 이어주는 주상골에서는 전체 16%, 정강이뼈... (중략)
이시우PD ([email protected])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3_202505162220014897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email protected],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